2025/03/27 5

더 이상 Cat-eye는 없다? 미국 아이 메이크업 트렌드

짙고 화려한 할리우드 셀럽들의 메이크업을 기억하나요? 2010년대에는 볼드하고 강렬한 메이크업이 대세였죠.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미국 메이크업 트렌드에 큰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내추럴 룩’과 ‘클린걸 룩*’이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이제는 본연의 아름다움을 살리는 노메이크업 메이크업** 스타일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클린걸 룩 (Clean Girl Look) : 건강하고 세련된 느낌으로 메이크업에서는 자연스럽고 혈색이 도는 꾸안꾸 스타일**노메이크업 메이크업 (No-Makeup Make up) : 마치 화장을 하지 않은 듯 자연스럽지만, 실제로는 정교하게 연출된 메이크업 변화의 시작 : 셀럽들의 영향력2016년, 배우 알리샤 키스를 비롯한 여러 셀럽들이 ‘노 메이크업..

미국 2025.03.27

BB크림·CC크림이 유럽에서는 트렌디한 아이템이라고?

BB크림과 CC크림을 사용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한때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이 베이스 제품들은 현재 그 인기가 다소 시들해졌습니다. 그런데 최근 한국식 BB크림과 CC크림이 유럽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어떤 이유로 관심을 받게 됐는지 살펴보겠습니다.  K-뷰티의 영향을 받은 유럽의 뷰티 트렌드그 이유는 유럽의 뷰티 트렌드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K-뷰티의 영향을 받은 유럽은 건강하게 빛나는 피부(Glow Skin)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피부 본연의 건강함을 기르는 스킨케어와, 깨끗한 피부를 강조하는 가벼운 메이크업 방식이 확산되었습니다. 과거 피부 문제를 해결하는 스킨케어와 결점을 가리는 두꺼운 베이스 메이크업을 선호하던 것과는 다른 모습입니다.  유럽의 뷰티..

유럽 2025.03.27

Hype 세럼으로 읽는 인도네시아 스킨케어 트렌드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인구 수 기반의 거대한 내수 시장과 디지털화된 MZ세대*가 주도하는 젊은 시장이 특징인, 동남아에서 가장 빠르게 경제가 성장하는 국가입니다. 뷰티 산업 또한 급성장 중으로 세계 최대 할랄 화장품 시장**으로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킨케어는 단순한 소비를 넘어 트렌드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세럼은 그 중 대표적인 하입(Hype)*** 아이템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인구 중 절반 이상이 MZ세대(BPS, 2020) | 전 세계 틱톡 사용자 1위(Statista, 2024) | 스마트폰 보급률 98.2%(Hootsuite, 2021)**2억 명 이상의 무슬림 인구 보유, 2019년부터 화장품 할랄 인증 의무화 및 2026년 전면 시행 예정***하입(Hype) ..

동남아 2025.03.27

셀프 쇼핑 5년, 2025년의 중국 뷰티 편집숍은 어떤 모습일까?

한 때 중국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왓슨스(Watsons)는 점차 영향력을 잃고 있습니다. 온라인 시장이 주도권을 잡으면서 오프라인 매장의 중요성이 낮아진 것일까요? 2020년 전후로 중국의 오프라인 뷰티 시장에는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었습니다. '더 컬러리스트(The Colorist)', '와우 컬러(Wow Colour)'와 같은 오프라인 뷰티 편집숍이 등장하며, 중국의 신생 뷰티 브랜드들은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브랜드들이 오프라인 시장에서 주춤하는 사이, 뷰티 편집숍은 5년 동안 로컬 브랜드들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접점 역할을 해왔습니다. 소비자 또한 뷰티 편집숍을 통해 자유로운 테스트 쇼핑 경험을 쌓아가고 있습니다. 기존의 BA(Beauty Advisor)가 1:1..

중국 2025.03.27

미국 소비자들의 진짜 스킨케어가 시작됐다

※ 본 컨텐츠는 컨셉추얼이 [뷰티누리 - 화장품신문]에 연재하는 아티클입니다. ➡뷰티노리에서 기사 확인하기📝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은 단순히 미국이라는 단일 시장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데 더 큰 가치를 갖고 있다.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미국의 뷰티 트렌드는 한국, 중국, 일본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국가에 영향을 미친다. 지난 십 수년간 K-뷰티가 중국에서 호황을 누렸음에도 중국을 벗어나 다른 나라로 그 영향력이 확산되지 않았다. 다른 나라의 소비자들이 중국의 뷰티 트렌드에 무관심했기 때문이다. 반면 미국의 경우는 다른 여러 산업군에서도 그러하지만 뷰티 부문의 소비 트렌드는 잡지, 뉴스와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는 물론 뉴미디어인 SNS와 아마존 플랫폼 등을 타고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확산된다. 미국에서 ..

미국 2025.03.27